일반적으로는 명백한 것에는 싫증을 잘 느끼지만 예상하지 못한 것에는 흥미를 갖고, 무질서한 것에는 불안함을 느끼지만 규칙성에는 안정감을 느낀다. 그러므로 아름다움에는 질서 속 흥미가 있어야 하고,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름다움을 창출하는 것이다.
비례
비례는 길이나 면적이 두 개 이상 존재할 때 생기는 것이다. 부분과 부분, 부분과 전체 간의 비율, 즉 상대적인 크기를 의미한다. 비례는 모든 디자인 원리의 기본이 되지만 실내디자인에서는 특히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실내디자인은 먼저 공간을 실측하는 데에서 시작하고, 이것은 공간과 물체, 물체와 물체 간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작은 공간에 큰 소파를 두게 되면 그 소파는 실제보다 더욱 크게 보이면서 작은 공간은 더욱 작게 보일 것이다. 이와 같이 공간이 잘못 계획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아름다운 실내 공간을 위해서는 실내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적절한 비례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례의 종류
비례의 종류에는 정수비와 루트비, 급수비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고대로부터 가장 이상적이고 아름다운 비례로 여긴 비례는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1:1.618인 황금비이다. 그러나 오늘날 주거의 실내는 공간의 크기에 비해 가구가 갖는 크기가 매우 커서 황금비의 원리를 실내 공간에 적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대량생산이나 교환성, 규격화 등을 위해 정수비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통일성
통일성은 여러 개의 요소들이 각각 분리되어 보이지 않고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거나 전체적으로 일체감 있게 느껴지는 것을 뜻한다. 아무리 비싸고 좋은 디자인이라고 해도 전체적인 효과에 대한 고려 없이 실내에 설치하게 된다면 공간의 통일감은 깨지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 공간에 통일성을 주기 위해서는 디자인 요소를 반복하거나 동질성과 유사성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통일성의 종류
통일성의 종류에는 정적 통일과 동적 통일이 있는데, 정적 통일은 기하학적이거나 규칙적인 형태로 표현한 것을 뜻한다. 주로 삼각형이나 사각형, 원형 등의 기본 도형이나 수정, 눈의 결정체와 같은 자연적인 형태 등은 정적 통일에 대한 좋은 예시이다. 정적 통일은 수동적이고 생동감이 없는 대신 안정적이므로 권위적인 공간에 사용하면 효과가 좋다. 동적 통일은 불규칙한 형태나 자유로운 곡선을 의미하지만 나선형과 같이 어떤 방향성을 가진 디자인도 동적 통일에 속한다. 동적 통일은 자유로운 형태에 기반을 두고 연속적인 흐름을 가져 능동적이면서도 생동적인 만큼 운동감을 느낄 수 있지만 동적 통일이 지나치면 공간상에 불안정함 또는 혼돈을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