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

디자인의 원리3(리듬, 강조)

리듬

리듬은 그리스어 rheo(흐르다)에서 파생한 용어로, 청각과 관련된 음악의 원리로서 율동과 관련이 있으나 시각예술에서의 리듬은 보는 사람의 눈 움직임에서 비롯되므로 이것은 시각적인 동작의 관념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음악에 리듬감이 없다면 지루하게 되는 것처럼 시각예술에서도 리듬이 없다면 공간의 변화가 생기지 않아 공간에 대한 흥미가 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듬은 율동감과 함께 흥미를 일으키고 시선을 유도하며 강조하는 효과를 갖는다. 실내디자인에서의 리듬감은 실내 구성 요소들을 반복시키고 점이시키며 교체, 대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반복

반복은 형태나 색채, 질감 등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반복은 단순한 반복부터 복잡한 구조의 반복까지 다양한데, 통일성을 얻기 위한 것에는 규칙성이 전제되지 않지만 리듬감을 얻기 위한 것에는 통일성과는 달리 엄격한 규칙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벽지나 카펫의 무늬를 커튼 또는 침대보에 반복하여 사용하거나 벽면에 그림을 규칙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실내디자인에서의 반복의 예시로 들 수 있다. 그러나 평범한 것을 지나치게 반복하면 공간이 지루해지고 흥미를 잃기 쉬워지므로 강조하고 싶은 것 또는 주요 특징이 되는 형태 및 색채 등을 반복 사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점진

점진은 형태나 크기, 색채, 질감 등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져서 얻어지는 효과를 뜻하며 점진의 예로는 자연의 질서를 들 수 있다. 자연의 질서는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형태에 속하는데, 나무의 성장이나 인간의 성장, 달의 변화와 계절의 변화를 예로 들 수 있다. 점진에 의해 생긴 리듬은 사람들의 눈을 부드럽게 만들어 친근감과 질서감을 느끼게 하고 변화와 통일에 의한 조화미를 형성하여 실내 디자인에 많이 이용되는 편이다. 실내에서 볼 수 있는 점진적 리듬으로는 계단 또는 집안에서 사용하는 식기, 직물류의 패턴 등이 있다. 

교체

교체는 서로 엇갈린 반복 또는 정확하고 규칙적인 반복 등 일련의 교대를 이루는 것을 말하며, 반복의 응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교체는 교차의 간격에 따라 강해지거나 약해지기도 하는데 이를 통해 공간을 극적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실내에서 볼 수 있는 교체의 예로는 실내의 벽과 창 또는 문의 구성을 들 수 있다. 

대비

대비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요소가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이 아닌, 반대되는 요소 사이에서 형성되는 감각 상의 차이를 말하며, 길고 짦음이나 큰 것과 작은 것, 밝은 것과 어두운 것, 무거움과 가벼움 등과 같이 서로 상반되는 것을 강조시켜주거나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미적 효과를 창출한다. 그러므로 대비효과는 시각적 자극이 보다 뚜렷해서 흥분을 자아내고 우리의 생활을 활동적, 생동적으로 만든다.  실내에서 볼 수 있는 대비는 빨간색 사물의 옆에 녹색의 사물을 배치하거나 사각형이 대부분인 공간에 둥근 사물을 두거나 현대적인 가구로 찬 공간에 골동품 장식을 두는 것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으며, 이는 형태나 색상, 분위기, 재료, 크기, 방향, 무게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연출할 수 있다. 

강조

강조는 주어진 공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강하게 표현하고, 그 공간에 중심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실내 공간에서 흥미의 초점이 없다면 지루함을 빨리 느끼게 되고, 흥미의 초점을 지나치게 강조하면 효과가 떨어질뿐더러 복잡하고 산만한 분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디자인에서의 강조는 가장 관심을 끌 수 있는 하나를 정한 뒤, 나머지는 그 하나를 위한 부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한다. 강조를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은 방향을 중점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는 방법과 중심과 대칭을 이용하여 공간의 중앙 또는 대칭적인 구도의 중심에 장식을 하는 방법, 크기를 이용하여 예외적인 크기로 강조하는 방법, 요소를 대비시켜 시선을 집중시키는 대비의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 조명을 집중 조명으로 강조하는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