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

실내디자인의 프로세스-디자인 단계

디자인 단계는 종합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 주거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시각화하는 단계로, 거주자들과의 소통이 이뤄지기도 한다. 거주자들은 이 과정에서 완성될 공간을 예측하고 의견을 제시하며 제시된 의견의 적합성에 따라 계획안이 수정되거나 변경되기도 하면서 최종안에 이른다. 디자인 단계는 디자인의 개념 및 방향 설정, 아이디어의 시각화 및 대안 설정, 대안의 평가 및 최종안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디자인의 개념 및 방향 설정

디자인의 개념과 방향 설정 단계는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가 발상되는 단계로, 세부적인 전개를 하기 전 전체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설정한다. 이 단계는 앞선 단계에서 가족들의 공간 선호 스타일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서 시작한다. 장식이 많고 화려한 공간 또는 자연적인 소재를 활용한 점잖은 공간, 심플하고 차분한 공간을 원하는지 등 거주자들이 원하는 공간 스타일을 고려한 뒤 전체 공간에 대한 이미지의 방향을 설정하게 되는데 각 실에 있어 거실, 식당 등의 공동공간은 가족 전체의 의견을 고려해야 하지만 개인공간은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견을 고려해야 한다.

아이디어의 시각화 및 대안 설정

아이디어의 시각화 및 대안 설정 단계에는 디자인의 개념과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현해서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설정해보는 단계이다. 아이디어를 시각화하는 방법에는 일정한 형식이 없지만 대체로는 버블 다이어그램이나 프리핸드를 통해 구현하는데, 이것을 아이디어 스케치라고도 한다. 아이디어 스케치는 표현이 자유롭고 피드백이 가능하며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 중 버블 다이어그램은 실내 공간 상호 간의 관계성과 동선의 연결 관계를 뚜렷하게 보여주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는 것에 유용하다. 일반적으로는 공간디자인을 할 때 버블 다이어그램을 기초로 하여 공간 구성과 가구 배치 등을 계획한 뒤 계획된 여러 대안 중에서 가능성이 높은 2~3가지의 계획안을 선택하고 세부적인 스케치를 통해 정리한다. 

대안의 평가 및 최종안 결정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의 정답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고, 선택된 대안마다의 특징과 장점이 달라 최종안을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도 있지만 결국 대상 공간의 실내는 하나이므로 여러 대안을 다양한 시각으로 평가하고 최적의 대안을 선정해야 한다. 대안들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설정된 디자인의 개념 및 방향에 거주자의 요구사항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주거 공간의 문제점 해결에 대한 디자인이 얼마나 적합하고 유용한지, 완공 후 유지 관리에도 효율적인 경제적 디자인인지 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항목별로 점수를 매겨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대안을 최종안으로 결정하기도 하지만 프레젠테이션을 하여 거주자들의 선택으로 최종안을 결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선택된 최종안은 다시 객관적인 평가를 거쳐 부족한 점이 있다면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만족한다면 실시설계로 넘어가게 된다.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선택된 대안들이 거주자들이 만족할만한 생활 공간인지 직접 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거주자들이 완성될 공간을 예측할 수 있도록 2차원과 3차원으로 된 구체적인 표현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표현으로는 평면도와 입면도, 천장도 등의 2차원적인 표현과 투시도 및 모형의 3차원적인 표현, 재료와 색채 등을 볼 수 있는 샘플 보드가 있다. 평면도는 설계도서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도면으로, 이것을 기준으로 다른 도면들이 작성된다. 공간의 크기와 형태, 벽, 문, 창 등의 위치와 폭을 나타내고 공간과 가구의 크기 관계에 대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되며 평면도의 빈 공간들은 각 공간에서 이루어질 거주자들의 행동 양식과 동선의 관계도 예측할 수 있다. 입면도는 벽면 부분을 표현한 도면으로, 실내의 4면을 나타내어 전개도라고도 한다. 천장의 높이, 문과 창의 형태와 높이 등을 나타내며 축척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한다. 천장도는 평면과 동일한 형태로, 천장의 디자인과 조명 위치, 종류와 설비 등을 표현한다. 투시도는 원근법을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입체적으로 표현한 그림으로, 진행 중인 공간계획이 완성됐을 때를 예측한 것이다. 거주자에게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며 디자인을 재검토하고 확인하는 과정에서도 필요하다. 모형은 투시도의 평면적이라는 한계를 넘어 도면에서는 알 수 없는 공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물의 크기를 그대로 하거나 축소 또는 확대하여 실물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며 아이디어 스케치를 하는 초기 단계에서 제작될 수도, 거주자의 최종적인 결정을 위해 마지막 단계에서 제작되기도 한다.